삼성에서 이번에 갤럭시 s22에 새롭게 탑재된 자사 CPU 엑시노스 2200의 벤취마크 점수가 처참하다는 결과가 나와서 충격을 주고 있다. 삼성은 자사 브랜드 갤럭시 시리지에 삼성에서 만든 cpu 엑시노스와 퀄컴사의 스냅드래곤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엑시노스 2200 과 스냅드래곤 8 Gen1 차이는?
삼성은 갤럭시를 공급할때 2가지의 CPU로 제품을 생산하는데, 하나는 삼성에서 만든 엑시노스 시리즈 그리고 또다른 하는 글로벌 파트너사인 퀄컴사의 스냅드래곤 시리즈다. 그리고 이번 갤럭시 s22에 엑시노스 2200과 스냅드래곤 8 Gen 1이 쓰였는데, 두 모델간의 퍼포먼스는 대략 30% 정도 차이가 난다고 한다.
삼성 갤럭시 S22와 S21의 엑시노스 성능은 얼마나?
한 발 더나아가 이번에 발매된 S22와 기존의 S21과의 비교해도 성능적인 면에서 전혀 나아진게 없다는 결론이다. 1년이 지났고, 아이폰 AP 시리즈와의 성능이 갈수록 갭이 생기는 와중에 엑시노스의 퍼포먼스는 그대로라니 정말로 충격적이다.
참고로 이번에 엑시노스보다 30% 성능이 좋다고 알려진 스냅드래곤 8 Gen 1의 경우 아이폰 SE2 시리즈와 비슷한 성능을 보인다고 하니 안드로이드 진영의 CPU 성능이 한 참 뒤처진 걸 알 수 있다.
*아이폰 SE2 (A13)이며 아이폰 13은(A15)이다.
스냅드래곤 VS 엑시노스 벤치마크 점수
*이 벤치마크는 유튜브 Erdi Özüağ 에서 발취했음을 알립니다.
3D Mark 점수의 경우 스냅 드래곤은 전작에 비해 향상된 퍼포먼스를 보여주지만 갤럭시 S22에 탑재된 엑시노의 경우 전작보다 11%가 아닌 수치 11 정도만 더 높다고 보여빈다. 이 정도면 전작과 거의 동일한 수준이다.
GFX 벤치마크 점수는 똑같다.
GFX 티렉스 오프스크린 테스트에서는 오히려 갤럭시 S21의 엑시노스가 더 좋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기존에 스마트폰을 바꾸려고 했던 사용자들에게 나름 충격적인 결과가 아닐 수가 없다.
국내에 발매되는 갤럭시 S22 모델은 어떤 제품?
다행이도 국내에 발매되는 갤럭시 S22 및 울트라의 경우 스냅드래곤(Snapdragon) 8 Gen1을 장착하였다. 국내에서 구입하는 사람들에게 별 문제가 없지만, 해외에서 엑시노스를 탑재한 고객은 고민을 좀 해보아야 할 것이다. 30% 퍼포먼스를 보인다는 것은 카메라를 찍고 데이타를 처리할때, 게임의 성능, 게임의 빠르기, 모든 어플의 실행속도와 상관이 있으므로 신중하게 고려 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국내에 판매되는 갤럭시 S22는 안심?해도 되니 스마트폰을 구입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지금이 적기일지도 모르겠다. 성능만 아이폰에 좀 떨어질 뿐이지, 모든 기능이 업그레이드 되었으며 사진은 말도 안되게 멋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