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이 운영하는 워드프레스가 인기가 점점 늘어나면 과도한 트래픽으로 인해 반드시 요금제를 변경해야하는 날이 온다. 필자는 아마존으로 워드프레스를 쓰는데, 최근에 잦은 다운으로 인해 요금제 변경이 불가피하여, 보다 큰 용량과 램을 선택해야만 했다. 하지만 아마존을 이용한 워드프레스는 다른 서버와 달리 요금제 변경이 간편 하지는 않다.
그래서 이름하여 ‘아마존 라이트세일 요금제 변경! 옆집 할아버지도 한다’ 라는 포스팅을 준비했다. 최대한 쉽게 전달하기위해 많이 노력하였다는거 알아 주세요.
아마존 라이트세일 요금제를 하려면 이것부터 알아야?
아마존은 요금제를 변경하려면 안타깝게도 쉽게 되는게 아니다. 우선 자신이 운영중인 워드프레스(인스턴스)를 백업(스냅샷)한 후 새로운 요금제의 인스턴스를 생성한 후 복원하는 방법으로 진행해야한다. 대략적인 순서는 아래와 같다.
- 현재 운영중인 인스턴스에 가서 스냅샷(백업)을 만든다.
- 스냅샷의 옵션을 누른 후 새로운 인스턴스 생성을 누른다.
- 업그레이드나, 다운그레이드 하고자 하는 요금제나 그 밖의 옵션을 설정한 후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
- 그 후 기존에 쓰던 고전 IP를 새로운 인스턴스에 심어준다.
- 기존에 Https 주소를 썼다면, + 눌러 추가하면 끝이다.
- 원할하게 돌아가지 않는다면 인스턴스를 중지 후에 재가동을 눌러주자.
차근차근 따라 해보는 요금제 변경법 혹은 백업 복원하기
스냅샷 (백업) 찍는 법
가장 먼저 스냅샷(백업)을 직어야하는데, 인스턴스를 클릭 하여 아래의 관리 페이지로 접속을 한다.
스냅샷 -> + 스냅샷 생성을 눌러 아래처럼 스냅샷파일이 생성이 되었다면 백업이 완료가된다.
워드프에스의 글이 많으면 많을 수록 스냅샷을 할때 많은 시간이 소모된다.
새로운 요금제 변경 혹은 인스턴스 복원하기 및 생성
백업하고자 하는 스냅샷의 … 을 눌러 ‘새 인스턴스 생성’을 눌러주자.
원하는 요금제를 클릭해 준다 (필자는 1vVPU를 추천하지 않는데 이유는 잦은 다운)
인스턴스 이름(나중에 수정 불가능)을 다시 적은 후 인스턴스 생성을 눌러주면 완성이 된다.
고정 IP 세팅 및 HTTPS 추가
기존에 만들어 놓은 원래의 고정 IP를 새로운 퍼블릭 IP와 연결 해주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HTTPS를 추가해주면 완벽하게 복원된 걸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아마존 라이트세일에서는 나름?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한 번 익히고 나면 5분만에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마존 라이트 세일이 왜 많은 워드프레스 유저들에게 최고의 서버로 손을 꼽는지 알아 둘 필요가 있다.
바로 빠른 속도, 수많은 확장성, 자동, 수동 관리 모두가 가능하기 때문인데, 워드프레스 서버로 고민을 하는 분이라면 초반에 조금 고생을 하더라도 라이트 세일을 적극 권하는 바이다.